파이썬의 이차원 배열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다. 이차원 배열은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있는 형태이다.
arr1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이런 식으로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해 입력값들을 이차원 배열로 만들어줄수도 있다. 백준으로 문제를 풀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입력값을 가져와서 어떻게 넣어주는지도 중요한 것 같다. 이차원 배열과 관련된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면서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그래도 해야지 뭐 어쩌겠음!
new!
이차원 배열에서 최대값을 구해줄때 max함수 안에 max함수를 넣어줄수 있다는 걸 새로 알게 되었다.
arr = [
[1, 2, 3]
[4, 5, 6]
[7, 8, 9]
]
max_num = max(map(max, arr))
print(max_num) # 9
map을 사용해 이차원 배열에서 최대값을 구한 다음 다시 max를 사용하면 최대값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study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택, 큐, 덱 (0) | 2024.04.04 |
---|---|
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 (0) | 2024.04.02 |
재귀 함수 연습 (파이썬) (0) | 2024.03.30 |
시간 복잡도와 빅오 표기법 (1) | 2024.03.29 |
파이썬 list를 set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