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n을 기준으로 n과 가까운 수부터 정렬하려고 합니다. 이때 n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다면 더 큰 수를 앞에 오도록 배치합니다. 정수가 담긴 배열 num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list의 원소를 n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정렬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n ≤ 10,000
- 1 ≤ numlist의 원소 ≤ 10,000
- 1 ≤ numlist의 길이 ≤ 100
- numlist는 중복된 원소를 갖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umlist | n | result |
[1, 2, 3, 4, 5, 6] | 4 | [4, 5, 3, 6, 2, 1] |
[10000,20,36,47,40,6,10,7000] | 30 | [36, 40, 20, 47, 10, 6, 7000, 1000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4에서 가까운 순으로 [4, 5, 3, 6, 2, 1]을 return합니다.
- 3과 5는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5가 앞에 와야 합니다.
- 2와 6은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6이 앞에 와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30에서 가까운 순으로 [36, 40, 20, 47, 10, 6, 7000, 10000]을 return합니다.
- 20과 40은 거리가 같으므로 더 큰 40이 앞에 와야 합니다.
function solution(numlist, n) {
let gap = numlist.map((el, idx)=> {
return {idx : idx, value: Math.abs(n - el), el}
});
gap.sort((a, b) => {
return a.value - b.value || b.el - a.el
})
return gap.map(el=> el.el)
}
수도코드
n과 numlist의 요소들 간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구한다.
이 차이값들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하고, 그 다음으로는 요소의 크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정렬된 배열에서 요소들의 값만 뽑아서 배열형태로 리턴한다.
sort의 새로운 사용법을 알게 됐다!
|| 를 사용하면, 앞의 조건이 음수 또는 양수가 아닌 서로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될때 OR 연산자에 의해 두번재 조건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a.value - b.value의 결과가 0일때는 b.el - a.el로 판단해 정렬한다는 것이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80
참고
'study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저주의 숫자 3 (0) | 2023.03.22 |
---|---|
[Algorithm] orderOfPresentation (0) | 2023.03.22 |
[프로그래머스] 유한소수 판별하기 (0) | 2023.03.20 |
[프로그래머스] 등수 매기기 (0) | 2023.03.19 |
[프로그래머스] 치킨 쿠폰 (0) | 202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