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입출력 예
arr | answer |
[1,1,3,3,0,1,1] | [1,3,0,1] |
[4,4,4,3,3] | [4,3]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function solution(arr) {
// stack으로 풀기
const result = [arr[0]];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if (result[result.length - 1] !== arr[i]) {
result.push(arr[i]);
};
}
return result
}
// function solution(arr) {
// const result = [arr[0]]
//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 if (arr[i-1] !== arr[i]) {
// result.push(arr[i])
// }
// }
// return result
// }
처음에는 그냥 아래 반복문으로 문제를 풀었었는데 문제 카테고리가 스택이라서 다시 풀었음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온 요소가 먼저 나가게 되는 후입선출 구조니까 result의 마지막 요소값과 현재 arr의 요소 값을 비교해서 추가할지 말지를 결정하게 함
별로 좋은 풀이는 아닌거같은데 지금 졸려서 뭘 못하겠음 나중에 다른 사람 풀이도 좀 찾아보려고 함
'study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예산 (0) | 2025.03.13 |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 2025.03.09 |
[프로그래머스] 음양 더하기 (0) | 2025.03.04 |
[프로그래머스] 정수 제곱근 판별 (0) | 2025.03.04 |
[프로그래머스]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0) | 2025.02.25 |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입출력 예
arr | answer |
[1,1,3,3,0,1,1] | [1,3,0,1] |
[4,4,4,3,3] | [4,3]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function solution(arr) {
// stack으로 풀기
const result = [arr[0]];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if (result[result.length - 1] !== arr[i]) {
result.push(arr[i]);
};
}
return result
}
// function solution(arr) {
// const result = [arr[0]]
//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 if (arr[i-1] !== arr[i]) {
// result.push(arr[i])
// }
// }
// return result
// }
처음에는 그냥 아래 반복문으로 문제를 풀었었는데 문제 카테고리가 스택이라서 다시 풀었음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온 요소가 먼저 나가게 되는 후입선출 구조니까 result의 마지막 요소값과 현재 arr의 요소 값을 비교해서 추가할지 말지를 결정하게 함
별로 좋은 풀이는 아닌거같은데 지금 졸려서 뭘 못하겠음 나중에 다른 사람 풀이도 좀 찾아보려고 함
'study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예산 (0) | 2025.03.13 |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 2025.03.09 |
[프로그래머스] 음양 더하기 (0) | 2025.03.04 |
[프로그래머스] 정수 제곱근 판별 (0) | 2025.03.04 |
[프로그래머스]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