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의 각 원소에 대해 값이 50보다 크거나 같은 짝수라면 2로 나누고, 50보다 작은 홀수라면 2를 곱하고 다시 1을 더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x번 반복한 결과인 배열을 arr(x)라고 표현했을 때, arr(x) = arr(x + 1)인 x가 항상 존재합니다. 이러한 x 중 가장 작은 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두 배열에 대한 "="는 두 배열의 크기가 서로 같으며, 같은 인덱스의 원소가 각각 서로 같음을 의미합니다.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1,000,000
- 1 ≤ arr의 원소의 값 ≤ 100
입출력 예
arr | result |
[1, 2, 3, 100, 99, 98] | 5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위 작업을 반복하면 다음과 같이 arr가 변합니다.
반복 횟수 | arr |
0 | [1, 2, 3, 100, 99, 98] |
1 | [3, 2, 7, 50, 99, 49] |
2 | [7, 2, 15, 25, 99, 99] |
3 | [15, 2, 31, 51, 99, 99] |
4 | [31, 2, 63, 51, 99, 99] |
5 | [63, 2, 63, 51, 99, 99] |
6 | [63, 2, 63, 51, 99, 99] |
- 이후로 arr가 변하지 않으며, arr(5) = arr(6)이므로 5를 return 합니다.
내 코드
function solution(arr) {
let x = 0 // 작업 횟수
let prev = arr // 이전의 연산값을 저장해둘 변수
while(true) {
const check = prev.map(a => {
if(a >= 50 && a%2 === 0) return a / 2
if(a < 50 && a%2 === 1) return a * 2 + 1
return a
}) // 조건에 따라 연산 적용
const isAllSame = prev.every((a, i) => a === check[i]) // every를 통해 완전히 일치하는지 확인
if(isAllSame) break // 모두 일치한다면 반복문 중지하고 x를 리턴
x += 1 // 그렇지 않다면 반복횟수 1 증가
prev = check // 이전의 연산값 갱신
}
return x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1881
'study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배열 만들기 2 (0) | 2024.05.20 |
---|---|
[프로그래머스] 수열과 구간 쿼리 2 (0) | 2024.05.09 |
[백준] 파이썬 10282번 : 해킹 (0) | 2024.04.16 |
[백준] 파이썬 12919번 : A와 B 2 (0) | 2024.04.15 |
[백준] 파이썬 5972번 : 택배 배송 (0) | 2024.04.15 |